IP란?






IP


이번 글에서는 IP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. IP(Internet Protocol)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을 말한다. 그렇다면 코딩을 배우면서 한없이 반복된 요 프로토콜이란 무엇일까?


프로토콜(Protocol)이란 장비들이 통신할 때 따라야하는 형식이나 규칙을 말한다. 정보 통신을 할 때, 아무 정보나 던진다면 받는 쪽에서 당황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. 예를 들어 이력서를 쓸 때 뜬금없이 아랍어를 쓴다든지, 사진에 바디프로필을 넣어 보내면 당황할 수 밖에 없는 것처럼, 소통과 통신을 위해서는 서로가 지켜야하는 형식과 규칙이 있는 것이다.



IP의 역할


먼저 IP는 장치들에 IP 주소를 부여한다. 나는 A~Z까지 네트워크에 컴퓨터가 연결돼 있는데, IP 주소가 없다면 나는 G 컴퓨터와 통신하기 어려울 것이다. IP는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할 수 있도록 IP 주소를 부여해서, 정확히 데이터가 어디로 전달될지를 결정한다.


이때 데이터를 ‘패킷(Packet)’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눠서 전달한다. 그리고 이 IP패킷에는 나눠진 데이터와 함께 ‘출발 IP 주소’ 정보와 ‘도착 IP 주소’ 정보가 담기기에 광범위한 네트워크 망에서 길을 잃지 않고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도착할 수 있다.



IP의 한계


하지만 이러한 IP도 한계가 있다. 상대방 컴퓨터가 데이터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여도 그냥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. 또한 데이터를 쪼개는 IP 패킷의 특성 상 순서가 중요한데(문서가 순서가 다 꼬이면 얼마나 끔찍할지 생각해보자), IP는 광범위한 네트워크 연결 속에서 이러한 순서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.


이러한 IP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토콜이 등장했는데, 바로 TCP이다.

CATEGORIES:

Tags:

No Responses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